MINOLTA SR-T 시리즈 한글 메뉴얼
미놀타 SR-T 101과 202 영문 메뉴얼를 기반으로 하여 SRT 시리즈에 대한 한글 설명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Minolta SR-T 101 with MC Rokkor 58mm F1.4 PF
제품특징
|
일안리플렉스(SLR, single-lens-reflex) 카메라를 위한 TTL(through-the-lens) 노출측정이 소개된 이후로 몇가지 시스템들이 개발되었습니다. 어떤 "spot" 시스템은 전체 영역의 매우 적은 영역만 측광합니다. 또 다른 평균측광(average) 시스템은 독립된 두개의 센서(cells)에서 측정된 값을 가지고 구성하기에 높은 콘트라스트 하에서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오직 미놀타 SR-R 101만이 독점적인 새로운 타잎의 CLC 장치로 어떤 콘트라스트에서도 전체 피사체에 대한 최적의 노출값을 제공합니다.
더불어 당신의 SR-T 101은 좀더 정확한 노출을 위해 어떠한 TTL 시스템의 카메라 보다 놀랍도록 빠르고 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파인더에서 눈을 떼지 않고 구도를 잡고, 초점을 맞추고 노출과 셔터스피드를 맞추수 있는 미놀타 SR-T 101은 빠른 조작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프로 사진가에 적합하다.
이 설명서에는 F1.4 렌즈를 예로 들었으나 F1.2나 F1.7렌즈를 사용함에도 별다른 차이는 없습니다.
출처 : SR-T 101 영문설명서
미놀타 SR-T 200, 201 그리고 202는 정밀한 설계와 제작으로 빠르고 쉽게 조작 및 사용할 수 있는 최고의 일안리플레스 카메라입니다. 간단히 파인더내의 바늘을 맞추거나 취향에 따라 수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쉽게 정확한 노출을 맞출 수 있습니다. 노출 시스템은 미놀타의 독자적인 CLC (Contrast Light Compensator)는 특별한 기술이나 조정 없이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렌즈를 통과한 빛(TTL)에 대해 만족스러운 노출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SR-T 201과 202는 좀더 나은 기능과 편리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SR-T 모델은 미놀타 SLR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서 모든 교환렌즈(물론 MF만...)와 적용 가능한 시스템 악세사리를 사용함으로서 좀더 향상된 기능과 특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출처 : SR-T 200, 201 and 202 영문설명서
|
미놀타 SR-T 101의 주요 특징
(출처 : SR-T 101 영문설명서)
- 빠른 노출 확인이 가능한 TTL(throgh-the-lens) 노출 시스템
- 랜즈의 조리개 최대개방상태에서 피사체의 밝기랑 관계없이 빠르게 구도 및 초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 Follower 방식의 바늘이 셔터스피드와 조리개의 어떠한 조합이라도 정확한 노출을 한번에 보여줍니다.
- 셔터스피드의 값도 파인더내에 피사체 영역 밖에서 보여줍니다.
- 필름면의 광량을 측정하기에 필터, 벨로우즈 혹은 다른 장치에 따른 별도의 보정이 필요치 않습니다.
- "SPOT"과 "평군" 노출 시스템의 조합
- 독자적인 CLC(Contrast Light Compensator)노출 시스템은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 등의 빛의 상황에 상관없이 정확한 노출을 측정합니다.
- 피사체의 한곳과 다른 한곳의 빛의 강도의 변화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정확한 값을 읽어냅니다.
- 크고 빠르게 복원되는 미러에 의해 이미지가 잘리거나 부정확한 노출이 측정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 CdS 소자가 특수한 위치에 있어서 뷰파인더를 통해 들어오는 빛으로 인한 영향을 막아줍니다.
- 세계적인 명성의 로커렌즈
컴퓨터 디자인과 희귀 소재를 이용한 특허인 아크로매틱 코팅은 최고의 해상력을 만들어 줍니다.
- 다양한 기능을 위한 렌즈 및 악세사리의 완전한 시스템
SR01, SR-3과 SR-7를 위해 만들어진 모든 로커 렌즈는 SR-T 101에 Stop-Down 측광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가능합니다.
SR-T 200, 201 그리고 202
(출처 : SR-T 200, 201 and 202 영문설명서)
빠른 노출 확인이 가능한 TTL(throgh-the-lens) 노출 시스템
- 랜즈의 조리개 최대개방상태에서 피사체의 밝기랑 관계없이 빠르게 구도 및 초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 Follower 방식의 바늘이 셔터스피드와 조리개의 어떠한 조합이라도 정확한 노출을 한번에 보여줍니다.
- 필름면의 광량을 측정하기에 필터, 벨로우즈 혹은 다른 장치에 따른 별도의 보정이 필요치 않습니다.
- 독자적인 CLC(Contrast Light Compensator)노출 시스템은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 등의 빛의 상황에 상관없이 정확한 노출을 측정합니다.
세계적인 명성의 로커렌즈
SR-T 카메라에서는 MC 렌즈는 물론 stop-down 방식의 로커렌즈도 개방상태에서 TTL로 작동가능합니다. 미놀타의 최상의 품질, 컴퓨터에 의한 설계와 독점적인 마크로매틱 코팅은 당신에게 이득을 줍니다.
완벽한 시스템 악세사리
150개 이상의 미놀타 및 Leirz 호환 악세사리는 당신의 SR-T에 최대의 효용성을 제공합니다.
SR-T 201에 추가된 기능
SR-T 201 모델엔 X-sync 접점과 핫슈, 셀프타이머 그리고 파인더내에 셔터스피트 표시가 됩니다.. 카메라 뒷 커버에 메모홀더가 장차되어 있습니다.
SR-T 202에 추가된 기능
SR-T 202에는 다중노출기능과 미놀타의 독자적인 SLS(Safe Load Signal) 장치를 통하여 필름 장착여부와 필름장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또한 파인더 내에서 조리개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X와 FP 동조를 선택할 수 있으면 이는 핫슈와 PC 터미널 양쪽에 적용됩니다.
|
제품사양
|
Type | 35mm SLR |
Shutter | 수평이동식 기계식 focal plane 셔터 |
Speeds | B, 1, 1/2, 1/4, 1/8, 1/15, 1/30, 1/60, 1/125, 1/500, 1/1000 |
Selector dial | 등간격이고 연속회전되지 않는 단계별 멈춤장치가 있는 단독 다이얼 |
Self timer | 시간 조절 가능 최대 10초 (SR-T 101, 201, 202) |
Film advance | 이중촬영 및 셔터에 의해 잠금장치가 되는 레버에 의한 빠른 장전 방식 |
Winding method | 한번 혹은 여러 번에 걸쳐서 함. 20˚ 여유분 있음 |
Winding angle | 150˚ |
Frame counter | 촬영된 매수 표시 (자동리셋) |
Film rewinding | 크랭크에 의한 빠른 되감기 |
Frame size | 36 x 24mm |
Film | 표준 35mm 필름 |
Viewfinder | 고정 아이레벨 펜타프리즘을 통한 실상(實狀) 방식; 노출계 바늘 및 조정레버(follower system); 밧데리 체크 마크 및 셔터속도 표시
94% of 24 x 36mm (SR-T 200, 201, 202) |
Focusing screen | 중앙부 마이크로프리즘에 선명한 간유리 (SR-T 101)
중앙부 Φ3mm의 마이크로 프리즘 및 주변부 애큐드매트식 (SR-T 200, 201)
중앙의 Φ2.5mm의 수평 스플릿을 1.5mm 의 마이크로 프리즘이 둘러싼 형식 (SR-T 202) |
Image magnigication | 1:1 - 58mm 무한대시 (SRT-101)
0.83x - 50mm 무한대시 |
Exposure meter | TTL 방식. 펜타프리즘에 장착된 두개의 CdS 센서의 의한 CLC (Contrast Light Compensator) |
노출측정 및 범위 | ASA100 일때 EV3~EV17 측정 가능. 조리개는 완전개방에서 노출 측정. 조리개, 셔터 및 필름감도 세팅과 연동되는 시스템으로 파인더내에 있는 Follower-needle 시스템으로 조정 |
심도미리보기버튼 | 있음 (SR-T 101) |
ASA 범위 | ASA 6~6400 (DIN 9~39) |
밧데리 | 1.35v 수은전지 (PX-625) - 단종됨. 웨인셀 625 타잎으로 대체 사용 가능(필름나라판매). 알카라인 625 타잎은 전압차이로 인한 노출 오차 발생함 |
스위치 | ON, OFF 와 밧데리 체크. 카메라 바닥쪽에 위치 |
미러 | Oversize quck-return mirror with lock-up device. (적당한 용어를 차지 못해… 원문 그대로..) |
플래쉬 동조속도 | FP (전 속도 동조), X (1/60초 이하 동조) |
플래쉬 슈 | 콜드 슈 with PC-Terminal(SR-T 101, 200)
X-sync 핫슈 (SR-T 201, 202) SR-T 202는 PC-Terminal도 있음. |
사이즈 | w145mm x d89mm x h95mm with MC Rokkor 58mm F1.4
w145mm x d47.5mm x h95mm without lens |
무게 | 990g with MC Rokkor 58mm F1.4 (SR-T 101)
690g without lens (SR-T 200)
705g without lens (SR-T 201)
710g without lens (SR-T 202) |
SR-T 시리즈 기종별 사양 비교표
|
|
출시년도 |
최고셔터 |
Self Timer |
Mirror LockUp |
파인더내 정보 |
다중노출 |
플래쉬 슈 |
Safe Film Indicator |
메모창 |
발매가격 |
SRT 100 |
1971 |
1/500 |
No |
No |
No |
No |
C |
No |
No |
|
SRT 100b |
1976 |
1/1000 |
No |
No |
S |
No |
C |
No |
Yes |
|
SRT 100x |
1977 |
1/1000 |
No |
No |
S |
No |
H |
No |
No |
|
SRT 101 |
1966 |
1/1000 |
Yes |
Yes |
S |
No |
C |
No |
No |
55,300 |
SRT 101b |
1976 |
1/1000 |
Yes |
No |
S |
No |
H |
No |
No |
|
SRT 102 |
1973 |
1/1000 |
Yes |
Yes |
S/A |
Yes |
H |
No |
No |
|
SRT 200 |
1975 |
1/1000 |
No |
No |
No |
No |
C |
No |
No |
|
SRT 201 |
1975 |
1/1000 |
Yes |
No |
S |
No |
H |
No |
No |
|
SRT 202 |
1975 |
1/1000 |
Yes |
No |
S/A |
Yes |
H |
Yes |
Yes |
|
SRT 303 |
1974 |
1/1000 |
Yes |
Yes |
S/A |
Yes |
H |
No |
No |
|
SRT 303b |
1976 |
1/1000 |
Yes |
No |
S/A |
Yes |
H |
Yes |
Yes |
|
SRT 500 |
? |
1/1000 |
Yes |
No |
S/A |
Yes |
H |
Yes |
Yes |
|
SRT MC |
? |
1/1000 |
No |
No |
S |
Yes |
H |
No |
No |
|
SRT MC Ⅱ |
1975 |
1/1000 |
Yes |
No |
S |
Yes |
H |
Yes |
Yes |
|
SRT SC |
? |
1/1000 |
No |
No |
S |
No |
H |
No |
No |
|
SRT SC Ⅱ |
? |
1/1000 |
No |
No |
S |
No |
H |
No |
No |
|
SRT Super |
1973 |
1/1000 |
Yes |
Yes |
S/A |
Yes |
H |
No |
No |
56,000 |
- 파인더내 정보 : S-셔터 스피드, A-조리개 값
- 플래쉬 슈 : C-Cold Shoe : 접점 없이 플래쉬만 장착 가능하며 PC터미널 접정에 케이블로 연결사용, H-플래쉬 접점이 있어 보통 전자플래쉬 장착 가능함. 요즘의 대부분의 카메라에 장착된 슈임.
- SRT-MC : SRT-101의 미국 K-Mart OEM 버전
- SRT-MC Ⅱ: SRT-202의 미국 K-Mart OEM 버전 (1975~1978년 판매)
- SRT-SC : SRT 100의 J.C. Penny 버전 (미국의 Sears에서 팔았다는 설도 있음. http://members.aol.com/manualminolta/)
- SRT-SC Ⅱ: SRT200의 J.C. Penny 버전 (미국의 Sears에서 팔았다는 설도 있음. http://members.aol.com/manualminolta/)
- SRT 100을 제외한 모든 기종에는 심도미리보기 기능이 있다. SRT100의 경우엔 있는 기종과 없는 기종이 혼재하고 있다.
- SRT 101, 102, 303의 미러 LockUp이 없는 것도 있다.
- SRT 102(미국), SRT 303(유럽), SRT Super(일본)은 같은 모델이다.
- SRT100b : SRT 200의 유럽 버전(http://members.aol.com/manualminolta/minslr.htm)
Minolta SR-T SC II (사진제공 : 김상훈(Appassionata)님
|
TTL with CLC : 새로운 측광시스템
|
미놀타 SR-T 101 카메라는 CLC 미터를 가진 TTL 측광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미놀타의 독창적이고 혁명적인 CLC(Contrast Light Compensator) 분리된 다중 측광으로 좀더 나은 사진을 약속합니다.
보통 상황에서의 촬영에서 이 시스템은 최상의 결과를 보이며 고대비(high-dontrast)에서 이 CLC는 사진을 망치는 것을 막아 줍니다.
(미놀타 SR-T 101 메뉴얼에서 발췌)
CLC 측광
미놀타의 독창적인 CLC(Contrast Light Compensator)는 두개의 CdS 소자를 펜타프리즘에 설치되어 분리/중첩된 빛을 측정합니다.
이 CdS 셀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각각 읽어진 값이 서로 영향을 줘 일반적인거나 혹은 높은 콘트라스트 상황에서도 최적의 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래서 최상의 결과를 위해 사진가는 별도의 보정이 필요치 않습니다. 다만 주 피사체가 현저히 밝을 경우, 예을 들면 스포라이트를 받고 있거나 태양등이 포함되어 있다면 경우에 따라선 1~2 스톱 정도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사진가는 역광이거나 주 피사체가 주변보다 현저히 어두울 경우 반스탑이나 한스탑 정도 올리는 것을 좋아하기도 합니다.
....
(미놀타 SR-T 200, 201, 202 메뉴얼에서 발췌)
* 이 CLC는 분활측광의 시초가 되었으며 미놀타의 "세계최초" 중의 하나입니다.
|
|
아래 사진의 적색전선이 연결된 두개의 둥그런 물체가 CdS의 소자입니다.

(사진출처 : 병동사의 수리공간)
|
미놀타가 가지고 있는 세계최초 및 특허 (상식으로 알고있는 民生用만) (이종화님의 글에서 발췌)
- 아크로매틱-렌즈코팅 (2층막 코팅으로 최초의 다층막 렌즈코팅)
- 상하분할방식의 SLR 노출 측정방식(CLC 측광이라하지요. SRT101 에 처음 채택.)
- 모터드라이브 일체식 SLR (SR-M이죠)
- 필름되감기 노브를 위로 당겨서 카메라 뒤두껑이 열리는 장치.(SR-2)
- 렌즈셔터가 아닌 포칼-프레인셔터 최초로 카메라 상부에 핫-슈 장치.(Minolta 35)
- 샷터속도와 조리개치를 자동으로 조합하는 노출장치.-일명 프로그램 노출.(UNIOMAT)
- 레버를 이용하여 필름을 감는 장치(Minolta MEMO)
- 파인더 아이피스 샷터(X-1)
- 파인더 접안창의 시도보정장치 (XD-s)
- 노출계 본체내장의 SLR (SR-7 외광식입니다.) -->TTL방식은 발표는 PENTAX SP가 최초인데 발매는 TOPCON RE-super가 세계최초
- 전자유니트 방식의 샷터-메카니즘(특허는 Copal과 Leitz사가 갖고 있고 XE에 장착)
- 35미리 TTL-AE방식의 오토-포커스 카메라 (역시 AF특허는 미국의 허니웰사가 갖고있지요)
- 동체예측 구동방식의 AF. (α-7700i)
- BODY에 카드시스템을 채용하여 카메라 기본기능을 변환하는 방식(Canon은 바-코드 방식으로 대응하였죠)
- 1/12,000초 샷터 스피드. (α-9Xi)
- Eye Sensor방식의 AF구동 메카니즘.
- 굴절식 광학렌즈 시스템 (Dimage-X) --->최초 채용은 8mm 캠코더인 SONY CCD-TR555.
- 보디내장의 손떨림 보정 시스템. (광학식 렌즈이동의 손떨림보정 특허는 Canon이 가지고 있음)
- 접착식 비구면 렌즈 (채택은 α-7000 발매시 기본장착한 35-70mm 가 최초이나 특허는 Tamron임)
- 가변식 AF-SOFT렌즈(100mm/2.8)
- AF마크로-줌렌즈 1x-3x
- 아큐트-매트 광학식 초점판(핫셀의 초점판도 미놀타에서 납품한 것임)
- 가변식 주변 이미지 조절기구 부착 렌즈 (STF 135mm/2.8)
- AF가능한 반사망원렌즈 시스템
- 3CCD방식의 디지탈카메라 (RD-175)
- 카메라 구성품 일부를 교환하여 본체의 기본기능을 변환하는 시스템(α-9000의 프로그램-백 슈퍼)
※ AF보조광 특허는 올림프스에 있다고 합니다.
※ 프리즘을 오각형의 미러로 대치한 中空 미러방식의 SLR 화인더 특허는 Ricoh사가 갖고 있음
|
부위별 명칭
|
- 필름되감기 및 뒷커버 열기 레버 -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필름을 감을 수 있고 레버 전체를 위로 올리면 뒷 커버가 열립니다.
- 플래쉬 슈 (콜드슈) - SR-T 101 및 200은 콜드슈 이며 201및 202는 핫슈 타입입니다.
- 펜타프리즘
- 셔터스피드 및 필림감도 다이얼
- 필름장전레버
- 필름카운터창
- MC 핀(Meter Cuupler) - 렌즈의 조리개 값을 바디로 전달
- 렌즈착탈버튼 - 아래로 살짝 내리고 렌즈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빠집니다.
- 셔터(릴리즈소켓 있음) - 셔터 가운데 부분에 표준 릴리즈 소켓이 있습니다.
- 미러업버튼 - 미러 충격을 방지를 위해 촬영전에 올리고 찍을 수 있습니다.
- 셀프타이머 - 최대 10초 지연이 가능합니다.
- 심도미리보기 버튼 - 심도미리보기나 MC 핀이 없는 렌즈의 노출 측정시에 사용합니다.
|
|
|
- 필름되감기축
- 전원스위치 및 배터리 체크 - OFF/ON/B.C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전체의 전원이 아니고 노출계만 전원이 필요하다. OFF시에도 노출계 이외의 카메라 전기능은 이상 없이 작동가능합니다..
- 삼각대 소켓 - 표준 1/4 인치 나사산
- 전지실커버 - 손으로 꾸욱 눌러 돌리면 됩니다. 오랫동안 전지를 넣어 두면 누액이 나와 전지실 커버가 잘 안 열리 수 있습니다. 사용 안하실 때는 전지를 빼 놓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 필름되감기버튼 - 기종에 따라 이 버튼을 누르고 필름장전레버를 돌려서 다중 노출이 가능합니다.
- 파인더
- 스프라켓
- 필름 감기 스풀
- 필름압착판 - 필름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손때등의 오염에 주의 하십시요.
- 포커플레인셔터 - 천 재질로 정밀하게 움직이는 부품이므로 주의해서 취급해 주셔야 합니다.
|
|
|
미놀타 SR-T 202 / 102 / 303 파인더
- 렌즈의 조리개 값이 표시됩니다. 작은 거울을 이용하여 실제 렌즈의 조리개 수치를 보여 줍니다.
- 셔터 값이 보여집니다. 현재 125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이 셔터다이얼과 실을 이용해서 연결되어져 있습니다.
- 가운데 부분에 스플릿이 있으며 그 둘레에 마이크로 프리즘이 둘러져 있습니다.
- 셔터다이얼과 MC핀으로 전해진 조리개 값과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되어 있습니다. 2번의 셔터 눈금과 같이 실을 이용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노출계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이 바늘이 위 아래로 움직입니다.
|
|
미놀타 SR-T 101 / 201파인더
- 노출계 범위 표시자
- 노출계 바늘
- Follower Needle (적당한 용어가 생각이 안나네요..^^)
- 밧데리 체크 마크
- 노출계 범위 표시자
- 마이크로 프리즘
- 셔터스피드 눈금
|
|
미놀타 SR-T 200 파인더
|
|
Minolta SR-T Super (사진제공 : 이승주님)
촬영
|

촬영준비가 완료되었으면 이제 실제 촬영에 들어갑니다. 사진 촬영을 위해선 카메라에 넣은 필름에 맞는 감도를 설정하고 노출계에 측정된 값에 따라 카메라 노출을 맞춘 뒤 초점을 맞추면 됩니다. 그 밖에 셀프타이머 작동법과 플래쉬를 이용한 촬영법등이 있습니다.
|
감도설정
|
셔터스피드 다이얼을 들어 올려서 돌려서 필름 감도를 맞추실 수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필름의 감도 (ASA) 값을 확인 하신 후 해당 감도가 표시되도록 맞추시면 됩니다. SR-T 카메라에선 아래 눈금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6 • 10 • 25 • • 50 • • 100 • • 200 • • 400 • • 800 • • 1600 • • 3200 • • 6400
여기서 • 의 의미는 ASA 8, 12, 32, 40, 64, 80, 125, 160, 250, 320, 500, 640, 1000, 1300, 2000, 2600, 4000, 5200 입니다.
DIN 규격의 필름을 사용하실 경우 뒷 커버에 있는 변환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사진의 가운데 사진은 SR-T 101에 있는 대조표이며 아래쪽 사진은 SR-T 101b에 장착된 대조표입니다. SR-T 101b의 대조표는 메모 홀더 역활도 합니다. 사용중인 필름의 박스 두껑을 찢어서 이곳에 꽂아 주시면 어떤 필름을 사용중인지 확인하시기 편리합니다.
원칙적으로 필름감도는 ISO가 유일한 표준입니다. 하지만 보통은 ASA가 통용되고 있으며 DIN 규격 역시 얼마전까지는 사용되었습니다.
- ASA : 값의 배수는 필름감도가 배를 됨을 나타냅니다. 같은 환경에서 ASA 200 필름은 ASA 100 필름보다 노출을 한스탑 줄일 수 있습니다. 즉 같은 셔터속도에서 ASA 100일때 F5.6 이면 ASA 200일때 F2.8이 됩니다.
- DIN : 숫자 3를 더한 값이 필름감도가 배가 됩니다. 1 DIN의 의미는 노출값이 1/3스톱과 같은 의미입니다.
- ISO :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필름 감도 표현법으로 실제적으론 ASA값과 DIN 값을 같이 표기했을 뿐입니다.
ASA |
DIN |
ISO |
6 |
9 |
6/9° |
12 |
12 |
12/12° |
25 |
15 |
25/15° |
40 |
17 |
40/17° |
50 |
18 |
50/18° |
64 |
19 |
64/19° |
100 |
21 |
100/21° |
160 |
23 |
160/23° |
200 |
24 |
200/24° |
400 |
27 |
400/27° |
800 |
30 |
800/30° |
1600 |
33 |
1600/33° |
3200 |
36 |
3200/36° |
6400 |
39 |
6400/39° |
|


|
|
노출 설정
|
피사체를 파인더로 봤을때 바늘이 위 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구도를 잡으신 다음에 원하는 셔터다이얼과 조리개를 돌리면 원형고리가 있는 레버 (오른쪽 사진에서 적색 바늘, follow-up needle or circle-tipped needle)이 따라 움직이는데 이 바늘을 노출계 바늘과 같이 맞추시면 노출 조정이 끝납니다.
기종에 따라 파인더내에 셔터스피드 값과 조리개 값이 보이는 것도 있고 보이지 않는 기종도 있습니다. 셔터 스피드는 다이얼 옆에 있는 빨간점이 기준점이고 조리개는 렌즈 중앙의 ◆ 표시가 기준점입니다.
셔터속도와 조리개 그리고 필름 감도는 파인더내의 원형고리와 연동 됩니다. 노출계는 ASA 100 필름 사용시 EV3에서 EV17까지 작동합니다. 보통의 경우 셔터스피드를 먼저 정하고 다음에 조리개 값으로 노출을 맞추는 것이 편리합니다. 하지만 셔터 속도에 따른 변화나 심도 표현을 위해서 조리개를 먼저 정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
셔터 스피드 (정확하는 셔터가 열려 있는 시간)는 조리개값과 연동하여 필름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조정합니다. 높은 셔터속도는 빠른 피사체에 대해 정지 화면을 만드는데 효과적입니다.
셔터 스피드는 다이얼을 카메라 바디의 있는 눈금에 원하는 값을 돌려서 맞추시면 됩니다. 다이얼에는 1에서 1000 그리고 B가 표시되어 있고 이는 1초에서 1/1000초의 셔터스피드를 뜻 합니다. B는 벌브셔터로서 셔터를 누르고 있는한 셔터가 열려 있습니다.
60과 같이 빨간색으로 표시된 것은 카메라의 플래쉬 동조속도를 나타냅니다. 일반 X-sync를 사용하는 일반 전자 플래쉬를 사용하실 경우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

|
조리개 세팅의 기준점은 조리개 링 앞의 ◆ 입니다. MC Rokkor 58mm F1.4 표준렌즤 경우 1.4에서 16이 조리개 링에 새겨져 있습니다.
같은 셔터속도에서 조리개의 F 숫자가 한단계 변할때마다 50%의 빛의 감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리개 값이 2.8에서 4로 변경되면 빛의 양(Light Volume)은 50% 감소합니다.) 조리개 숫자가 감소할 수록 통과하는 빛의 양은은 증가합니다. 조리개 숫자와 빛의 양의 변화는 옆의 그림을 참조하세요.
|
|
STOP-DOWN BUTTON
STOP-DOWN 버튼은 최대 개방에서의 노출 측정과 STOP-DOWN 노출 측정 셋팅 혹은 심도미리보기의 두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이 버튼은 셔터가 장전되어 있어야만 작동되면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원위치 하게 됩니다. 만약 셔터가 장전되어 있지 않다면 이 버튼은 작동되지 않으며 조리개는 최대 개방 상태로 남아 있게 됩니다. 셔터를 누른 다음엔 이 버튼이 눌러져 있더라도 원위치 되어 조리개는 최대개방상태로 됩니다.
미놀타 MC (Meter-Coupled) 렌즈를 사용시에는 조리개는 최대개방상태로 있으면서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 노출을 측정하므로 파인더는 밝은 상태로 유지되어 초점과 구도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줍니다. 조리개는 실제 촬영이 될때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여진 뒤에 촬영이 끝나면 자동으로 원위치 합니다.
MC렌즈가 장착되었을 경우 이 STOP-DOWN 버튼이 눌러지면 자동으로 노출계가 작동을 멈춥니다. STOP-DOWN 노출 측정은 MC 이전의 렌즈를 위한 장치입니다. 물론 최근의 MD 렌즈 역시 MC 핀을 가지고 있으므로 MC렌즈와 같은 작동을 합니다.
RF Rokkor, Rokkor-X Reflex-mirror type, Auto Rokkor 와 수동조리개 렌즈 사용시 아래와 같이 STOP-DOWN 노출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AUTO ROKKOR 렌즈 사용시
- 초점을 먼저 잡은 후에 STOP-DOWN 버튼을 눌러 STOP-DOWN 모드가 되도록 한다.
- MC 렌즈의 경우처럼 파인더내의 노출계를 보면서 노출을 맞춘다. 이때 파인더는 조리개가 조여진 관계로 어두워져서 마이크로프리즘 및 스프릿 스크린등은 제대로 동작되지 않습니다.
- 셔터를 누를때까지 STOP-DOWN으로 놓습니다.
|

|
반사렌즈와 수동 조리개 렌즈 (Minolta Manual-Preset 타잎, 아답터를 이용하여 Leitz Photar나 Telyt-S 렌즈 사용시)
위의 Auto Rokkor 렌즈와 같은 방식으로 하면 되지만 조리개가 연동이 되지 않기에 굳이 STOP-DOWN 버튼은 누를 필요는 없습니다.
|

|
B셔터는 1초 이상으로 셔터를 열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주로 옆의 사진과 같은 야경사진, 불꽃놀이 혹은 천체사진과 같은 장시간 노출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B 셔터 촬영시에는 삼각대 등을 사용하여 카메라를 고정시켜야 합니다. 릴리즈 등을 사용하여 혹시 모를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도 좋습니다.
|
|
※ 주의사항
- 조리개를 먼저 맞춘 경우 셔터 다이얼이 click stop 중간에 맞는 일이 안 생기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셔터가 정상적으로 작동 안 할 수 있습니다.
- 1/30초 미만의 셔터 스피드일 경우엔 손떨림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30 미만의 속도나 벌브촬영일 경우엔 삼각대 및 셔터 릴리즈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 일반적으로 실외에서는 1/125, 실내에선 1/30의 셔터스피드가 편리합니다.
- 단체사진이나 심도가 깊은 사진이 필요할 경우 조리개를 최대한 조이시기 바랍니다.
- 노출계는 수직 구도에서도 작동합니다.
|
|
| |
jacson님의 댓글
jacson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중고로 srt 200 을 구입하게 되어서요.... 화면으로보니 눈이 아파서요....설명서 pdf 로 만들어서 보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jacson@naver.com